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ETF 배당 분배금 수수료 세금 주가 전망 분석 정리

반응형

최근 인공지능 열풍이 계속되면서 AI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크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특히 AI 기술 발전의 핵심이 되는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있죠. 이런 흐름 속에서 투자자들은 개별 종목을 직접 고르는 대신 ETF를 통해 AI 반도체 섹터에 투자하는 방법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제가 직접 투자하면서 느낀 점은 AI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는 만큼 집중적인 리서치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전문가들이 엄선한 포트폴리오에 투자할 수 있는 ETF는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2024년 11월에 상장된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ETF'는 AI 반도체 시장에 투자할 수 있는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그럼 본격적으로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ETF 배당 분배금 수수료 세금 주가 전망 분석 정리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ㄴ다.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기본소개

항목 내용
상품명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ETF
유형 해외주식형, 섹터
시가총액 3,751억원
상장주식수 38,850,000주
52주 최고/최저 11,890원 / 9,085원
기초지수 PHLX US AI Semiconductor 지수(PR)
상장일 2024년 11월 26일
펀드보수 연 0.49%
자산운용사 미래에셋자산운용(주)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ETF는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2024년 11월 26일에 출시한 상품으로, AI 반도체 시장에 집중 투자하는 해외주식형 ETF입니다. 상장한지 약 4개월 정도 지난 신생 ETF임에도 불구하고 시가총액이 3,751억원에 달하는 것을 보면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순위 종목명 비중(%)
1 Broadcom Inc 19.04%
2 NVIDIA Corp 17.96%
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16.97%
4 ASML Holding NV 9.81%
5 QUALCOMM Inc 6.11%
6 Advanced Micro Devices Inc 5.75%
7 Applied Materials Inc 4.47%
8 ARM Holdings PLC 4.27%
9 Lam Research Corp 3.51%
10 KLA Corp 3.35%

상위 10개 종목을 살펴보면 글로벌 AI 반도체 생태계의 핵심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브로드컴(19.04%)은 데이터 센터 및 네트워킹 솔루션 분야의 선두주자이며, 엔비디아(17.96%)는 AI 그래픽 처리장치(GPU)의 절대 강자입니다. TSMC(16.97%)는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으로, ASML(9.81%)은 극자외선(EUV) 리소그래피 장비 제조사로 첨단 반도체 생산에 필수적인 기업입니다. 이들 상위 4개 종목이 전체 포트폴리오의 약 64%를 차지하고 있어 핵심 기업들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운용전략

이 ETF는 'PHLX US AI Semiconductor 지수(PR)'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연동하여 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PHLX US AI Semiconductor 지수(ASOX)는 나스닥 증권거래소가 30년 만에 새롭게 발표한 글로벌 반도체 투자 지수입니다. 기존의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SOX)에서 AI 비중을 높인 새로운 지수로, AI 혁신과 함께 구조적 변화를 겪고 있는 반도체 산업을 반영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이 지수는 미국 주요 거래소에 상장된 시가총액 3억 달러 이상의 반도체 기업 중 AI 반도체 밸류체인에 속하는 기업들로 구성됩니다. 분야별로는 팹리스, IP&EDA, 장비, 후공정, 파운드리 기업만 선별하고, 종합반도체기업(IDM)은 제외했습니다. 이는 레거시 공정을 제외하고 성장성 있는 산업만 포함시킨 '레거시 프리(Legacy Free)' 지수로서 순수한 AI 반도체 기업에 대한 투자 기회를 제공합니다.

지수 산출방법은 시가총액 가중 방식이며, 상위 1~3위 종목의 비중은 각각 20%, 17%, 15%, 나머지 종목은 12%로 비중 상한(Cap)을 설정하여 특정 종목에 대한 과도한 집중을 방지하고 있습니다. 이 지수는 연 4회(3, 6, 9, 12월) 정기적으로 리밸런싱됩니다.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ETF는 미국에 상장된 주식에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60% 이상을 투자하며, 환헤지를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1좌당 순자산가치는 기초지수의 원화환산 수익률에 연동됩니다. 이는 환율 변동에 따른 추가적인 수익 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배당 분배금(배당금) 및 세금

구분 내용
배당 주기 분기배당 (1, 4, 7, 10월 말일)
최근 배당락일 2025년 1월 24일
최근 배당금액 9원 (배당률 0.08%)
연간 예상 배당률 약 0.32% (분기배당 기준)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ETF는 분기별로 배당을 실시하며, 지급 기준일은 1, 4, 7, 10월 마지막 영업일(또는 회계기간 종료일)입니다. 상장 이후 첫 배당은 2025년 1월 24일에 이루어졌으며, 주당 9원(배당률 0.08%)이 지급되었습니다.

현재까지의 배당 이력이 짧아 정확한 배당 패턴을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분기배당 기준으로 연간 약 0.32%의 배당률을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이는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이 ETF는 배당보다는 자본이득을 추구하는 성장형 ETF라고 볼 수 있습니다.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배당 분배금(배당금) 및 세금 (계속)

배당금에 대한 세금은 15.4%가 원천징수됩니다. 또한, 이 ETF는 해외 주식형 ETF이므로 매매차익에도 배당소득세(15.4%)가 부과됩니다. 국내 주식형 ETF만 매매차익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그 외 국내 상장 ETF는 모두 매매차익에도 세금이 부과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투자자들은 이 ETF를 통해 미국 AI 반도체 시장에 간접 투자함으로써 배당금에 대한 이중과세를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직접 미국 주식에 투자할 경우 미국에서 30%의 원천징수세가 적용되고, 한국에서 다시 세금 정산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이 ETF를 통해 투자하면 한국에서 한 번만 세금을 납부하면 됩니다.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수수료(운용보수)

구분 비율
운용보수 0.449%
지정참가회사보수 0.001%
신탁보수 0.020%
일반사무관리보수 0.020%
총보수 0.490%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ETF의 총보수율은 연 0.49%입니다. 이는 국내에서 운용되는 해외 섹터형 ETF 중 비교적 적정한 수준의 보수율입니다.

보수의 구성을 살펴보면, 운용보수가 0.44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지정참가회사보수 0.001%, 신탁보수 0.02%, 일반사무관리보수 0.02%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보수는 ETF의 순자산가치(NAV)에서 일할 계산되어 차감되므로 별도로 지불할 필요는 없습니다.

제가 경험한 바로는 해외 주식에 직접 투자할 경우 발생하는 여러 비용(환전 수수료, 해외 주식 거래 수수료, 환율 스프레드 등)을 고려하면, 0.49%의 보수율은 개인이 직접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보다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특히 AI 반도체 분야의 전문 지식이 없는 투자자들에게는 이 정도 비용으로 전문가들이 구성한 포트폴리오에 투자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단, 총보수 외에도 지수사용료, 상장수수료, 매매비용 등 기타 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제 비용 부담은 다소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추가 비용은 대체로 미미한 수준입니다.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주가 전망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ETF는 상장 이후 최고가 11,890원에서 최저가 9,085원까지 변동하며 상당한 변동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2025년 3월 기준) 약 9,700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상장 이후 수익률은 약 -4.11%로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단기적인 조정으로 볼 수 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AI 반도체 시장의 성장 잠재력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Chat GPT 등장 이후 AI 인프라 투자가 본격화되고 있으며, 빅테크 기업들의 AI 관련 지출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이 ETF의 주요 구성 종목인 엔비디아, 브로드컴, TSMC 등은 AI 반도체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높은 진입장벽으로 인해 장기적인 경쟁우위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엔비디아의 경우 블랙웰(Blackwell) 칩의 정상 인도를 시작했으며, 이전 버전보다 60~70%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요가 예상됩니다.

이 ETF는 시세차익형으로 배당보다는 자본이득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보수적으로 봐도 향후 연간 10~15% 수준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이는 참고 수준이며 실제 수익률은 시장 상황 및 환율 변동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AI 반도체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로, 역사적 반도체 강세장이었던 닷컴버블(1995-2000), 클라우드 사이클(2016-2021)과 비교해도 초입 단계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한다면, 현재의 조정은 매수 기회로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반도체 산업은 본질적으로 사이클성이 강한 산업이므로, 단기적으로는 높은 변동성을 보일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또한 환헤지를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원-달러 환율 변동에 따른 추가적인 변동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요약정리

항목 내용
상품명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ETF
시가총액 3,751억원
기초지수 PHLX US AI Semiconductor 지수(PR)
실부담비용율 연 0.49% (기타비용 별도)
분배율(배당률) 연 약 0.32% (예상)
예상 주가 수익률 연 10~15%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결론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ETF는 AI 기술 발전의 핵심이 되는 반도체 시장에 집중 투자하는 상품으로, AI 시대의 승자들에 효율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생각해보면 지금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AI 혁명은 역사적인 변곡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거대한 흐름 속에서 AI 인프라의 핵심인 반도체 기업들에 투자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단기적인 변동성이 크고 배당률이 낮으므로, 장기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 ETF는 환헤지를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환율 변동에 따른 추가적인 수익 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매매차익에도 세금이 부과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또한, AI 반도체 시장의 경쟁이 격화되거나 경기 침체로 인해 AI 투자가 지연될 경우 예상보다 낮은 수익률을 기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이 ETF는 AI 기술의 장기적 성장 가능성에 베팅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입니다. 포트폴리오의 일부로서 적절한 비중으로 투자한다면, 장기적인 성장에 참여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글이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ETF에 관심 있는 투자자들에게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